턱관절 장애란?
![](img/sub4/sub42_04.png)
턱관절이란 턱뼈와 머리뼈 사이에 위치하여 두 뼈를 연결하는 관절입니다. 모든 턱 운동의 중심축으로 작용되고 근육과 인대에 의해 지지되는데 턱관절 사이에 있는 디스크는 뼈와 뼈 사이의 쿠션역할을 해 줍니다. 근육과 인대, 디스크, 턱뼈가 함께 어우러져 개구, 저작, 침삼키기, 말하기 등의 활동을 담당하는데 여러 요인에 의해 기능에 이상이 생긴것을 턱관절 장애라고 합니다.
턱관절 3대 증상
![](img/sub4/sub42_10.png)
통증
통증의 호발 부위는 턱관절 부위가
가장 많으며, 다음으로 교근, 측두근 부위,
흉쇄유돌근의 순서로 나타납니다.
턱관절 장애로 인해 편두통이나
목, 어깨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.
![](img/sub4/sub42_12.png)
관절 잡음
턱에서 ‘딱‘ 또는 ‘따각‘ 하는 소리로
표현이 되는 단순 관절음,
‘지익지익'이나 ‘사각사각’ 등의 소리로
표현되는 염발음으로 분류됩니다.
![](img/sub4/sub42_14.png)
개구제한
입을 최대한으로 벌렸을 때
남자는 45~55mm,
여자는 40~45mm
정도가 정상 개구량 입니다.
편안하게 입을 벌렸을 때
개구량이 40mm 이하인 경우
개구제한으로 판단됩니다.
턱관절 비수술 치료 방법
![](img/sub4/sub42_21.png)
① 냉각 스프레이
순간적으로 표면온도를 떨어트려 일시적으로 통증을 해소합니다.
![](img/sub4/sub42_23.png)
② 약물
염증성 턱관절 장애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약물 치료를 진행합니다.
![](img/sub4/sub42_27.png)
③ 레이저/적외선
중주파 물리치료를 통해 근경련, 관절경직, 통증 등을 감소시킵니다.
![](img/sub4/sub42_28.png)
④ 스플린트
악관절의 공간을 확보하여 턱관절의 위치를 정상 상태로 회복합니다.
![](img/sub4/sub42_31.png)